중앙과 지방의 복지 분담에 따라 중앙정부는 NHS(보건의료), 잡센터플러스(고용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한 행정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지방정부의 구조나 재정 분담 체계는 좀 복잡하다. 게다가 2007년 금융위기 이후 집권한 영국의 보수당 정부가 재정 감축을 매우 강하게 밀어붙이면서 …
[카테고리:] 학술논문
학술지 발표 논문의 핵심과 연구 이야기
통합적 공공 복지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영국 사례 연구
우리나라에서 통합적인 공공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시도는 통합사례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 더 보기
지역사회복지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의 민간 사회복지 지위와 역할에 대한 개념적 모색
이용자 지원방식의 도입, 공공전달체계 확대, 사회보장급여법 시행 등에 따라 민간 사회복지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 더 보기
베버리지 복지국가에서 캐머런 정부까지: 복지국가 패러다임의 변화에 있어 싱크탱크의 역할과 전략에 대한 영국 사례연구
본 연구는 복지국가 건립, 대처리즘, 제 3의 길 등 세계 복지국가 패러다임에 있어 제도적 선도성을 보여 온 영국 사례연구로 이 … 더 보기
우리나라 복지행정 개혁과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 분석을 통한 공공 복지행정의 방향 모색
우리나라 복지정책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그에 따라 복지행정에도 지속적인 개혁과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효과성에 대한 문제제기 역시 계속되고 … 더 보기
Policy transfer using the ‘gold standard’: exploring policy tourism in practice
John Hudson and Bo-Yung Kim Policy transfer features prominently in the policy analysis literature, ye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 더 보기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전략과 방향
지역사회복지계획이 이제 제3기를 맞이하고 있다. 2003년 6월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 제 15조에 의해 지자체들은 4년마다 지역주민의 복지수요와 전망에 맞추어 사회복지 장단기 … 더 보기
사회복지 전달체계 패러다임으로서의 거버넌스, 협영(協營)에 대한 이론적 탐색
거버넌스는 1990년대에서 최근까지 정치학, 행정학, 사회정책학 등의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개념 중의 하나이다. 이는 정책집행과 전달체계가 다중화된 특성을 … 더 보기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구축: 지역 복지전달체계 혁신방안의 모색
우리나라는 최근 10여 년간 급속한 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사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이미 사회서비스의 확대는 … 더 보기
영국 사회서비스 담론 분석: 두 개의 축에 따른 네 가지 지형
2007년 바우처 사업 실시 등 사회서비스가 재정, 공급자, 서비스 등에서 다각적으로 확대되는 가운 데 이 과정에서 도입된 선택과 경쟁을 중심으로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