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형성에서부터 집행까지 정책과정을 연구해오면서 얼마 전부터 스스로 내리게 된 결론 중 하나가 우리나라 관료제는 역기능적이라는 것이다. 사회서비스와 전달체계를 연구하는 입장에서 다양한 정책의제와 개혁분야에서 다양한 관료들을 접하게 될 때 관료 한사람 한사람은 다양한 고민도 하고, 방안도 모색한다. 하지만 …
[카테고리:] 정책평론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칼럼과 비평 기고
지역의제를 통한 지방선거 대응: 대구의 변화를 위한 대구 시민사회의 시도
코로나19로 더욱 심화된 대구 지역사회의 과제 우리나라에서 서울, 부산에 이어 제 3의 도시로 꼽히는 대구는 의외로 상처를 안고 있는 도시이기도하다. … 더 보기
커뮤니티 케어가 아직 되지못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으로 시작된 커뮤니티 케어 대장정? 2018년부터 정부의 새로운 정책방향으로 등장했던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가 그 해말 기본계획이 나온 지 이제 3년째를 … 더 보기
메디시티 대구가 외면하는 대구청년, 또다른 돌봄비극을 막을 수는 있는가?
대구에 사는 20대 초반의 강도영(가명)이라는 청년은 지난 11월 10일 대구고등법원에서 항소를 기각하여 존속살해라는 끔찍한 죄명으로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다. 지난 8월 … 더 보기
보편적 기본서비스는 기본소득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보건의료, 교육, 돌봄, 교통, 통신, 주거 등 인간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모두에게 보장하자는 보편적 기본서비스(Universal Basic Service, UBS)는 아직 보편적 기본소득(Universal … 더 보기
K-방역의 성공은 또다른 개발국가의 모습이었는가
K-방역은 한때 국민적인 자부심과 같았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확진자 수가 급증하던 작년 2월 중순에서 한 달간은 혼란의 연속이었다. 새로운 감염병에 … 더 보기
복지확대의 시대, 사회복지학계와 실천현장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과제
2019년 기해년이 밝았다. ‘황금돼지해’라고 지칭되는 만큼 모두들 특별한 복을 기대하고 있다고 하지만 그만큼 삶의 무게가 절박하다는 말로 들리기도 한다. 그 … 더 보기
여전히 방향을 못 잡은 문재인 정부의 커뮤니티 케어
드디어 올해 사회복지계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과 논란을 일으켰던 문재인 정부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이 모습을 드러냈다. 원래 8월로 예정되어 있다가 계속 … 더 보기
2019년도 보건복지 예산안 분석-사회서비스 전달체계 분야
이번 예산안 분석에서는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분야를 별도로 분석해 보았다. 내년부터 복지부에서는 커뮤니티케어와 사회서비스원 시범사업을 계획하고 있고, 이 것이 이번 예산에 … 더 보기
우리나라의 대책은 왜 항상 체감도가 떨어질까?
어떤 것이 핵심적인 문제인지 진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략을 설정하고, 그 전략을 구현할 정책수단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