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통합적인 공공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시도는 통합사례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 더 보기
[태그:] 통합사례관리
문재인 정부 커뮤니티 케어, 역사적 전환과 선진국 흉내를 가르는 세 가지 관건
읍·면·동이 중심인 찾동의 프레임에 갇혀있는 이상 공적 서비스의 통합적 접근은 기대하기 어렵고, 광역지자체나 중앙정부가 중심인 사회서비스원 프레임에 갇혀있는 이상 당사자 중심의 유연한 체계를 기대하기…
지역사회서비스 10년의 제도화와 보편화, 그리고 문재인 정부의 과제
올해 2017년은 우리나라에서 사회서비스가 제도적으로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지 10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2007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서비스가 노인돌보미, 장애인활동보조,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 더 보기
무엇을 위한 ‘찾동’인가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는 주민들에게 가장 가까운 공공기관인 동주민센터에 복지·보건분야의 인력을 획기적으로 투입하여 시민들의 복지체감도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사업으로 현 민선 6기 … 더 보기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조 구축: 지역 복지전달체계 혁신방안의 모색
우리나라는 최근 10여 년간 급속한 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사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이미 사회서비스의 확대는 … 더 보기
사회서비스 통합 사례관리 정책이 ‘땜질관리’ 정책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최근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정책의 한계와 과제 우리나라 사회서비스는 돌봄, 보육, 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욕구가 제기되는 만큼 지속적인 확대를 경험하고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