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시도 기획운영 매뉴얼

사회서비스 전공자라는 이유로 사회서비스 사업 평가에 줄곧 참여하다가 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로 부터 어떻게 사업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매뉴얼을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받고 사회서비스 기획운영 매뉴얼을 제작하게 되었다. 이 매뉴얼은 시도에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기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사회서비스와 이 정책에 대한 이해,  사업 기획 방법, 신규 사업 개발과 마케팅, 제공자와 이용자의 효과적 관리 등을 위한 기법과 방법들을 담고 있다.

이 메뉴얼과 함게 우연치 않게 마침 지역사회복지계획 매뉴얼 제작에도 참여하게 되어 2013년 중하반기를 이런 기획운영 매뉴얼 제작에 매진하게 되었다. 이는 개인적으로도 복지행정 패러다임 연구 등을 통해 그 동안 고민해왔던 새로운 복지행정 접근방법에 대해 구체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그 방향을 잡기 위해서 공공행정과 공공관리(public management)에 관한 국내외 문헌 수십건을 탐독하였다.

그 결과 핵심적인 방향은 균형성과관리(Balanced Scorecard, BSC)에서 착안하였다. 균형성과관리는 주로 재정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는 기존의 공공행정에서 활용된 경영방법론과는 다르게 공공행정에 적합한 가치를 중심으로 적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었다. 즉, 기존에 공공행정에서 활용된 민간 경영방법론은 그 속성상 공적 가치보다는 재정적 효율성에 초점을 맞추는 한계가 있었다면 균형성과관리는 공적가치를 최우선에 두고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물론 나는 사회서비스의 산업화를 강조하는 복지부의 정책방향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하지만 주어진 정책방향과 조건에서 그래도 보다 효과적으로 공적 목적을 최대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래서 정책방향에 따라 신상품 개발, 마케팅 등 경영방법론을 적극 활용하면서도 그 것이 공적 목적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드는데 고려를 많이 하였다.

하지만 매뉴얼은 어디까지나 활용하는 사람의 몫이다. 기존의 관행대로 사업을 하고자하는 사람에게는 매뉴얼의 내용이 큰 도움이 안되겠지만 이 사업을 통해 지역의 복지에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어볼 수 있을까 고민하는 사람에게는 자신들의 방법을 찾아가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매뉴얼 전문 내려받기


김보영. 2013. “지역민의 삶을 바꾸는 사회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시도 기획운영 매뉴얼”.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